Killing Floor 2

Killing Floor 2

Not enough ratings
킬링플로어2 데디케이트 서버 설정 (上)
By Polu
킬링플로어 2 섭린이들을 위한 간단 가이드.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미루고 미루다 쓰는 가이드
사실 이렇게 유저가 멸망한 시점에서 서버 가이드를 쓰는게 맞나 싶습니다. 언제나 서버 가이드를 작성은 해야지 생각은 하고 있었으나 특유의 귀차니즘으로 인해 미뤘던지라...이렇게 늦게나마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가이드를 누군가 읽을지는 잘 모르겠으나 데디케이트 서버 설치에 어려움을 겪는 섭린이 한명이라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다행입니다. 上편은 기본적인 데디케이트 서버 설치 및 서버 설정 가이드를 下편은 커스텀 서버 설정 및 커스텀 모드에 관한 가이드입니다. 그럼 가이드 시작하겠습니다.
서론
킬링플로어2는 자체적으로 게임사에서 본인들의 서버를 할당해 서버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저희가 일반적인 게임에서 사용하는 게임에서 방 또는 서버를 만들기는 "리슨 서버"로 별도의 서버 설치 필요없이 방을 만든 주인 호스트가 호스팅해 다른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이 가장 보편적인 게임 서버 혹은 방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듯이 킬링플로어2는 이 리슨서버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킬링플로어2를 처음 접하는 많은 뉴비들이 이 부분을 몰라서 당황하곤 하죠. 따라서 우리는 컴퓨터에 따로 게임서버를 설치해 게임 클라이언트와는 별개로 실행되는 서버를 만드는 데디케이트 서버를 이용해야하는겁니다. 다른 게임에서 흔히 말하는 사설서버 같은 개념입니다.

그리고 국내에서 킬링플로어2의 개인적인 서버를 이용하는 방식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A.디스코드 자동 서버 개설기 이용

디스코드 서버 자동 개설기[gall.dcinside.com]

위 링크에 접속하셔서 하라는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본인 서버에 직접 서버를 설치하는것이 아닌 일정 시간동안 서버를 "대여"해주는 것이며 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나, 공식맵 및 공식 모드들만 가능하고 유저가 만든 커스텀 맵 및 커스텀 모드는 이용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간단히 친구랑 즐기고 싶으신 분들이 사용하기 편한 방식입니다.

제 데디케이트 서버를 따로 사용하는 저는 이 방식을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아직까지 운영을 하는지도 잘 모르며 정확한 사용방식도 잘 모릅니다.

B.데디케이트 서버를 직접 컴퓨터에 설치

이 방식이 킬링플로어2 서버의 메인이며, 이 방식에 대한 가이드를 보기 위해 가이드를 보시는것일겁니다. 데디케이트 서버 설치 가이드에 앞서 서버컴이 따로 준비되지 않고 본인의 메인컴퓨터에 서버를 설치하시는 분이라면 게임과 서버를 함께 돌리실 분들이 대부분이기에 이를 받쳐주는 사양이 되야하며, 따로 서버를 설치할 컴퓨터가 있으신 분들이라도 기본적인 cpu 성능과 램 및 ssd또는 hdd가 받쳐줘야합니다. 서버 자체가 사양은 그렇게 크게 타지 않으나 어느정도의 사양은 되야 서버가 렉없이 원할히 굴러갑니다. 또한 下편에서 후술할 커스텀모드까지 사용하실 분들이라면 더 높은 사양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SSD에 설치하시는게 좋습니다.

최소한 40gb의 용량이 필요하며, 커스텀맵 및 모드가 게속 설치된다면 70~80gb까지 용량이 늘어납니다. 저장공간은 충분히 확보하세요.
1. 데디케이트 서버를 설치하자
본래 기본적으로 steam cmd를 별도로 설치해 서버를 설치하는 방식이었으나, 파워셀을 이용해 기본적인 설치 및 설정을 해주는 서버 자동 구축기가 생겼습니다.

데디케이트서버 자동 구축기[gall.dcinside.com]

위 사이트로 들어가 따라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서버 실행시 서버 검색창에서 본인의 서버가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 종종 나타납니다. 이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지만 간단한 해결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A. 서버가 LAN에도 뜨지 않는 경우.
서버자체의 문제입니다. 서버가 정상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합시다. 가끔 서버 다 만들어 놓고 서버실행기.bat 실행 안하고 서버가 안떠요 하는 유저들 있기에 하는 말입니다. 서버가 정상실행되는데 그래도 LAN에 안뜬다 그러면 서버를 다시 깔아보면 되는데 여기까지 오는 경우는 잘 없을겁니다.

B. LAN에는 뜨는데 서버검색기에 검색이 안됨. (타유저가 접속못함과 동일)
포트포워딩의 문제입니다. iptime이나 다른 공유기 유저는 잘 모르겠는데 통신사 공유기 유저들이 가장 많이 겪는 증상입니다. 통신사들의 방화벽 또는 보안에 막히는 것 같습니다. 또는 본인의 공유기가 상위에 따로 장치가 있고 하위로 공유기가 연결되었으며, 그 공유기에 컴퓨터의 랜선이 연결되어있으면 발생합니다. 이 경우 직접 포트포워딩을 해줘야합니다.

킬플서버 폴더에서 cmd폴더가면 portmapper-2.2.1.jar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포트포워딩[m.dcinside.com] 이걸 따라합시다. 추가해야될 포트들은 아래와 같으며, 차례대로 프로토콜 외부 내부입니다.

TCP 8080 8080
UDP 20560 20560
UDP 7777 7777
UDP 27015 27015

C. B과정을 했는데도 안되는 경우.
윈도우 방화벽이나 컴퓨터에 백신이 있다면 그쪽 문제일 수 있습니다. 백신이 있다면 삭제하거나 서버실행기를 허용 시켜줍시다.

제어판에서 시스템 및 보안 -> Windows Defender방화벽 -> "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통해 앱 또는 기능 허용" 을 누르시고, 오른쪽 위 설정변경->다른 앱 허용, 킬플서버폴더->Binaries->Win64 들어가면 KFServer.exe있는데 이를 추가합니다. 만약 이미 추가되어 있다고 뜨면 리스트 뒤져서 KFServer.exe를 찾고 이 녀석이 개인 / 공용 둘다 체크 되어있는지 확인하시고, 안되어 있다면 체크 후 저장.

D-1. C까지 했는데도 안되는 경우.
공유기 홈페이지에서 직접 설정을 해줘야합니다. 이거는 통신사마다 생겨먹은게 달라서 이렇게 해라!라고 딱 지정해 줄 수는 없습니다. 일단 명령프롬포트 켜서 ipconfig /all치고 ipv4에 나오는 ip주소를 인터넷 브라우저 주소창에 쳐서 접속. 아이디랑 비번은 공유기 보면 붙어 있습니다. 아이디랑 비번쳐서 홈페이지에 접속 하시면 네트워크설정쪽에 포트포워딩 설정이 있을것이며, 앞서 말했던 대로 포트포워딩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D-2. 상위공유기와 하위공유기가 따로 있는 이중의 경우.
상위 공유기 또는 장치가 있고 거기에 하위적으로 공유기가 설치되었고, 그 하위공유기에 컴퓨터 랜선이 연결되어있는 경우. (대표적으로 거실에 따로 모뎀과 연결된 공유기가 있고 그 공유기에 랜선이 연결된 공유기가 방에 있고 그 공유기에 컴퓨터가 연결된 경우). 상위 공유기에서 먼저 하위공유기에 대해 설정을 해주고, 하위공유기에서 컴퓨터를 설정해 주면 됩니다. 집에서 대문을 먼저 연 뒤, 현관문을 여는것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E-1. D까지 했는데도 안되는 경우
포기

E-2. 난 죽어도 서버를 무조건 열어야겠다 하는 경우
공유기 홈페이지에서 네트워크 설정쪽에보면 DMZ개방 있는데 거기에 아이피 치고 개방하면 100%서버 열립니다. 다만 DMZ개방이란 모든 포트를 개방하는거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해서 보안상 추천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꼭 서버를 여셔야 하는 분은 사용하세요.
2. 서버실행기.bat 파일 설정

서버를 설치하셨다면 서버실행기.bat파일이 보일겁니다. 이를 우클릭 후 편집을 누르시면 메모장이 뜰겁니다.



노란색 - 서버 실행시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맵
빨간색 - 웹어드민 비밀번호 설정
초록색 - 게임 모드 설정 (오브젝티브,무한 모드 설정 또는 커스텀 모드 시에만 이용. 서바이벌만 사용할경우 없어도 무방함.)
파란색 - 게임 난이도 설정 (0:보통,1:어려움,2:자살행위,3:생지옥)
보라색 - 서버 포트들 설정

이정도만 있어도 사실상 다른 명령어를 추가하거나 수정할 필요는 없지만, 저는 뮤테이터 및 서버 전체적인것을 다룰 예정이기에 일단 알아두면 좋은 명령어 둘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관련된 모드 또는 내용을 이행하시지 않을분들이라면 필요없습니다.

mutator= (게임 모드 및 뮤테이터 추가 명령어)
configsubdir= (다중서버 개설 시 사용함)
gamelength=(웨이브 길이 설정. 0:4웹,1:7웹,2:10웹)


명령어 간의 구분은 ?로 합니다. A라는 명령어가 있고 B라는 명령어가 있으면 둘을 동시에 사용하고 싶을 경우 A?B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다만 예외로 포트들 설정 (configsubdir도 포함)은 명령어들 가장 뒤에 -를 붙입니다. 위의 두개의 명령어도 추가할 경우 이렇게 됩니다.


명령어들의 위치는 자유롭게 두면 됩니다.
configsubdir= 뒤는 자유롭게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3. 다중서버 만들기
이는 서버 한개가 아닌 여러개의 서버를 만드 실 분들에게만 해당되는 가이드이며, 대부분 섭주들만 사용하고 간단히 친구와 사용하시는 분들은 필요없을겁니다.근데 그럼 가이드가 필요한가?



우선, 서버실행기.bat 파일을 복사 후 서버 폴더에 붙여넣기 하신 후, 이름을 변경합시다. (전 구분하기 좋으시라고 이름을 Guide01으로 변경 후, 복붙하고 Guide02(다중서버)로 이름을 설정했습니다.)



이후, 복붙한 서버를 우클릭 후 편집을 눌러 메모장을 연 후, 포트들을 수정해줍시다. -port는 5이상은 차이나게 -Queryport는 50이상은 차이나게 설정하는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configsubdir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서버를 한개 구동하는 경우는 상관이 없지만 두개 이상을 운영하는 경우 1번 서버 따로 콘픽 파일이 존재하고 2번서버 따로 콘픽파일이 존재하는데, configsubdir이 없을경우 이 콘픽파일들이 구분없이 한데 섞이게 됩니다. configsubdir을 설정하시면 본인이 설정한 이름대로 서버들의 각 컨픽폴더들이 생기게 됩니다.

이후, 새로만든 서버의 컨픽 폴더로 가신 뒤, PCServer-KFEngine.ini를 열어 Port=7777 이부분을 본인이 설정한 -port 의 포트로 변경하세요. PeerPort=7778 이 부분은 +1값을 적어주면 됩니다.

그리고, 포트포워딩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4. PCServer-KFGame.ini 수정
서버설치폴더 ->config 폴더에 가보시면 PCServer-KFGame.ini 파일이 있을겁니다.
이는 서버의 인게임 설정을 설정하는 항목이며, 주로 설정하실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GameDifficulty (게임 난이도. 0:보통,1:어려움,2:자살행위,3:생지옥)
MaxSpectators (관전자 수 설정)
GamePassword (서버비밀번호 설정)
KickVotePercentage (추방투표 시 넘어야 하는 찬성유저수의 비율)
ServerName (서버 이름)
GameLength (웨이브 길이. 0:4웹,1:7웹,2:10웹)
GameStartDelay (전원 레디 후 게임 시작까지의 딜레이)
VoteTime (투표 시간)
FriendlyFireScale (팀킬 데미지 설정. 퍼센테이지이며 1.0=100%임)
bDisableTeamCollision (팀원 간 길막 여부 설정. True=길막없음 , False=길막있음)
BannerLink (서버 배너 이미지 설정 512x256, 색상은 RGB, 확장자는 PNG여야 하며, 이미지 다이렉트 링크여야 합니다.)
ServerMOTD (서버 배너 중앙에 뜨는 메세지)
ClanMotto (배너 이미지 바로 하단에 위치한 소제목 같은 부분)
WebsiteLink (배너 최하단의 다이렉트 링크 게시)
GameMapCycles (맵 사이클 설정. 이 부분은 웹어드민에서 사용하는게 더 편함)


서버 이름 또는 MOTD부분을 한글로 설정 시 인코딩 방식을 UTF-16 LE로 변경하셔야 한글이 깨지지 않습니다.
5. 커스텀 맵 추가하기
이 부분에서 부터는 유저 창작마당을 이용하시는 분들을 위한 부분입니다. 킬플에서 제공하는 공식맵 및 모드를 이용하실 분은 안하셔도 무방합니다. 유저 커스텀 모드 및 맵들은 스팀 창작마당에서 원하시는걸 찾으시면 됩니다. 커스텀 맵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본적인 설정을 해야합니다. 단 이는 steam cmd를 통해 수동으로 서버를 설치한 분들에게 해당되는 사항이며 서버 자동개설기를 통해 서버를 설치하신분들은 이미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있기에 안따라하셔도 됩니다.



서버설치폴더 -> KFGame -> Config -> PCServer-KFEngine.ini 에서 Ctrl+f 눌러서 DownloadManagers 목록을 찾아서 DownloadManagers=OnlineSubsystemSteamworks.SteamWorkshopDownload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 명령어가 제일 윗줄에 있어야합니다.





이후 스크롤을 가장 맨 아래로 내려 가장 최하단에 [OnlineSubsystemSteamworks.KFWorkshopSteamworks] 를 입력하고 바로 밑에 ServerSubscribedWorkshopItems=를 입력합니다.


서버 자동개설기를 이용하신분들은 여기서 부터 따라하시면 됩니다.

창작마당에서 본인이 즐기고 싶은 맵을 탐색합니다.





이후 창작마당의 고유 번호(?id=뒤의 숫자)를 복사 후 ServerSubscribedWorkshopItems=에 붙여넣기를 하시면 됩니다. 번호뒤 #을 붙이시면 코드에는 아무런 지장을 안주면서 본인이 이 코드는 무슨 맵이었다!라고 알 수 있는걸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서버를 한번 실행 시키면 서버에서 창작마당 맵을 로드중인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맵을 추가했지만 서버내 맵사이클에 설정하지 않으면 게임이 끝나고 맵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창작마당 맵이 뜨지 않게됩니다. 게임내 맵사이클에 본인이 추가한 맵을 추가하기 위해 웹어드민에 접속해줍시다.

본인의 ip:8080 (:8080은 본인이 지정한 웹어드민 포트를 말하는겁니다.)를 웹브라우저 주소란에 입력하시면 접속가능합니다.) ID는 admin 비밀번호는 본인이 지정한 어드민 비밀번호




웹 어드민에 접속하셨으면 MapCycles부분을 눌러 본인이 추가한 맵을 끌어다 넣어주고 저장해주시면 됩니다. 또한 사이클을 삭제할려면 오른쪽 창의 맵 이름에 커서를 대면 금지표시가 나오는데 이를 클릭하면 삭제됩니다.(왼쪽 창에서 오른쪽창으로 드래그 하면됨.)

MapCycles 부분에 창작마당 맵은 안보이고 공식맵만 보이시는 분들은 아래과정을 따라하시면 됩니다.

PCServer-KFGame.ini을 여시고 스크롤을 내리시면 아래 부분이 보일겁니다. 이는 인게임에서 맵들을 설정해주는것인데 공식맵 한 파트를 복사후 아래에 붙여넣기 합시다. 그리고 설정을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bPlayableInSurvival=(서바이벌 모드에서 이 맵 사용의 유무)
bPlayableInWeekly=(주간모드에서 이 맵 사용의 유무)
bPlayableInVsSurvival=(제드vs인간 모드에서 이 맵 사용의 유무)
bPlayableInEndless=(무한모드에서 이 맵 사용의 유무)
bPlayableInObjective=(오브젝티브모드에서 이 맵사용의 유무)



자신이 플레이할 모드에만 True를 치신후 나머지는 삭제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이후 다시 웹 어드민을 확인해보시면 추가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렇게 설정하시면 따로 커스텀 서버를 운영하실 예정이 아닌 이상 커스텀 맵 까지 추가해 재밌게 즐길 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본인은 색다른 게임 플레이, 재미를 원하신다면 下편에서 다룰 뮤테이터 및 커스텀 서버 가이드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즐거운 킬플되세요.
4 Comments
kokkiri 22 Aug, 2024 @ 3:19am 
dc KF2 갤러리 서버자동구축 글이 내려갔어요...
Basco 1 Feb, 2022 @ 5:37pm 
감사합니다
Polu  [author] 12 Jan, 2022 @ 8:32pm 
프로필이 마음에 안들어서 비추 드리겠습니다
RyuViL 12 Jan, 2022 @ 8:28pm 
3줄 요약없어서 비추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