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ry's Mod

Garry's Mod

51 ratings
RP 서버 입문자를 위한 안내서
By La Frosty and 3 collaborators
개요
이 가이드는 게리모드 RP(Role Playing) 게임모드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This guide is written by one of Korean Garry's Mod RP server owner for Korean players who don't know about Garry's Mod role-playing rules to introduce them.

주의사항
다크 RP, 타코 앤 바나나, 콤바인 컨트롤, 그 외 기타 RP 게임모드는 여기서 지칭하는 RP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본 안내서는 소위 진지한(시리어스) RP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이 가이드는 일부 규칙만을 다루고 있으며, RP 서버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안내서로 인한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당사자에게 있습니다.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역할극(Role Play)이란 무엇인가?
역할극(Role Play)이란 무엇인가?

현실이 아닌 다른 세상 속의 누군가가 되어 또다른 인생을 살아가는 것처럼 연기하는 것이라고 보면 쉽습니다.
따라서 현실의 자신과 캐릭터 간에는 확실히 분리를 해두어야 하는데, 이를 IC와 OOC로 구분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Garry's Mod에는 클락워크(Clockwork), 넛스크립트(NutScript), 또는 헬릭스(Helix)와 같이 다양한 RP 프레임워크 게임모드가 있습니다.



헬릭스(Helix)?

클락워크의 주요 개발자였던 Alex Grist가 주축이 되어 넛스크립트 1.1을 기반으로 만든 프레임워크입니다.
넛스크립트와 마찬가지로 사용은 무료이며, 여기서 소개하고 있는 프레임워크들 중 가장 최근에 나왔습니다.

미려한 인터페이스와 부드럽게 잘 돌아가는 뛰어난 최적화를 장점으로 두고 있습니다.

보통 IX라는 약칭으로 서버 목록에 표시되곤 합니다.
Github 페이지:
https://github.com/NebulousCloud




넛스크립트(NutScript)?

Garry's Mod의 RP 게임 모드 중 하나로
Chessnut과 rebel1324(Black Tea)가 공동 제작하였습니다.

기존에 RP를 위해 주로 사용되었던 유료 게임 모드인 클락워크(Clockwork) 와는 다르게 무료입니다.

1.0 버전과 1.1 버전이 있으며 기존 버전에 비해 기능들이 1.1 버전에 업데이트 되어 있습니다.

공식 사이트:
http://nutscript.rocks/


개발자 그룹:
http://gtm.steamproxy.vip/groups/nsdev


소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K-BjmWgfjw




클락워크(Clockwork)?

Garry's Mod가 13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기존의 RP 게임 모드인 오픈-아우라(Open-Aura)가 더이상 호환이 되지 않자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 나온 게임 모드입니다.

클라우드16 (Cloud Sixteen) 사에서 개발하였으며, 서버에 사용을 위해서는 유료 구매를 해야 합니다.

넛스크립트(NutScript)보다 일찍 개발되어 기능을 추가해주는 여러가지 플러그인들이 있습니다.

현재 공식적으로 지원이 중단되어 이용이 어렵습니다.

공식 사이트:
http://cloudsixteen.com/


Steam 그룹:
http://gtm.steamproxy.vip/groups/cloudsixteen
역할극(Role Play)의 주제
역할극은 모든 서버마다 고유의 주제를 정하고 플레이합니다. 주제는 크게 밀리터리 RP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밀리터리 RP는 군대나 전투집단을 중심으로 하는 RP로 NPC와 교전을 벌이는 PvE 서버이거나, 상대 팩션과 교전을 벌이는 PvP 서버로 나눠집니다.
그렇지 않은 서버의 경우 총격전과 싸움보다는 캐릭터 간의 대화와 상호교류를 RP의 핵심 컨텐츠로 삼고 있습니다.



널리 알려진 역할극 주제들

하프 라이프 2 RP
하프 라이프 2 RP(HL2 RP)는 밸브 사의 싱글 플레이어 FPS 게임, 하프 라이프 2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역할극입니다. 대략적인 배경은 하프 라이프 2 연대표[web.archive.org]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플레이 영상(영어):
https://youtu.be/iKUWPGoSnRc
소개 영상:
https://youtu.be/FwgjpuORkmE



메트로 2033 RP
메트로 2033 RP(MRP)는 러시아 작가 디미트리 글루홉스키의 SF 소설, 메트로 2033을 배경으로 하는 역할극입니다. 대략적인 배경은 나무위키의 메트로 유니버스 문서[namu.wiki]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폴아웃 RP
폴아웃 RP는 베데스다 소프트웍스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롤플레잉 게임 시리즈, 폴아웃을 배경으로 하는 역할극입니다. 대략적인 배경은 나무위키의 폴아웃 시리즈/세계관 문서[namu.wiki]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플레이 영상(영어):
https://youtu.be/aaiRDco-VNk



제2차 세계 대전 RP
제2차 세계 대전 RP(WW2 RP)는 실제 역사상의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하는 역할극입니다.
캐릭터 만들기
역할극(Role Play)에서는 먼저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캐릭터는 나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것으로 실제 RP 속 세상에서 살아가는 것 같은 하나의 인격체입니다. 이제 캐릭터를 생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이름
캐릭터의 이름을 적는 항목으로, 일부 팩션*에 한해서는 이름을 적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름은 실제 사람의 이름처럼 사실적으로 기입해야 하며,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역할극을 플레이할 수 없습니다.

  • 팩션(Factions): HL2 RP의 시민이나 시민 보호 기동대, MRP의 스토커, WW2 RP의 독일군 같은 집단을 부르는 RP 용어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역할극은 팩션을 기본 단위로 하여 상호작용이 진행됩니다.



설명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적어 둘 수 있습니다. 이는 게임 상에서 상대방이 캐릭터를 바라볼 때 직접 뜨는 한 두줄의 문장으로, 간결하고 보기 좋게 적는 게 좋습니다.
설명의 경우에는 이름과는 달리 잘못 적어도 다시 수정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역할극에서의 다른 항목들과 같이 마찬가지로 실제적으로 기입하지 않으면 역할극을 플레이할 수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규칙 위반으로 간주됩니다.

잘못된 예:
  • 자동차를 들어서 던질 수 있는 괴력을 가지고 있다.
  • 화성에서 온 외계인이다.
  • 인육 먹는 것을 취미로 삼는 연쇄살인마이다.
  • 중력523배

좋은 예:
설명의 기입에 별도의 규칙이 있는 서버도 있으나 대게 통용되는 것은 캐릭터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외형적 특징을 3인칭으로 서술하는 것입니다.
  • 그는 30대 중반으로 보이는 백인 남성으로, 짧은 금발과 푸른 눈동자를 가졌다.
  • 30대 중반 / 백인 / 남성 / 짧은 금발 / 푸른 눈동자
  • 눈에 띄는 기타 모양의 펜던트를 목에 건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 눈동자와 머리칼은 짙은 갈색이다.



외형/모델
게임 상에서 보이는 캐릭터의 모습으로 적당히 원하는 것을 고르면 됩니다. 이름과 같이 한 번 정한 것은 바꾸기 어려우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외형은 단순히 외모일 뿐만 아니라 캐릭터의 특성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여성 외형을 고르고 남성처럼 행동하거나 하는 비상식적인 경우는 통하지 않습니다.



능력치
여타 게임들과는 다르게 역할극에서는 캐릭터의 능력치가 플레이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크게 신경 쓸 필요 없이 적당히 분배하면 됩니다. 다만 서버에 따라 특정 능력치가 지나치게 낮으면 원하는 RP를 만들어나가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역할극(Role Play) 규칙
그 어떤 것에도 규칙은 있기 마련입니다. 마찬가지로 역할극에도 몇 가지의 규칙이 존재하는데 많은 분들이 여기서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그러나 차근차근 읽어보다 보면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쉬운 내용들이니 잘 따라와 주시기 바랍니다.



Non RP
Non RP는 역할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하는 행동을 지칭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규칙으로, 준수하지 않는다면 역할극을 플레이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거나, 그 자격이 없는 것입니다.


Bad RP
역할극은 서로 채팅을 하면서 진행하게 되는데 무리한 요구를 하게 되면 다른 유저들이 불쾌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상식선에 맞는 행동을 해주십시오.


Under RP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범죄는 실제 세상에서도 만연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역할극 내에서도 범죄 RP, 즉 Under RP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그러나 범죄란 정해진 법률을 깨고 피해를 입히는 일, 그 정도가 너무 심하다면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논RP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Fear RP
사람이라면 누구나 위험에 처하는 등 공포에 떨게 되는 상황이 닥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게임에서는 실제 상황이 아니므로 공포감을 느끼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역할극은 다릅니다. 당신의 캐릭터는 목숨이 위태롭거나 두려운 상황에서 공포에 떨게 됩니다.


철인 RP
총을 맞거나 높은 곳에서 뛰어내렸는데 멀쩡하게 걸어 다닌다면 사람이 아닙니다. 총에 맞거나 크게 다쳤는데도 아무런 이상 없이 행동한다면 철인 RP로 간주됩니다.


Meta-Gaming
ㅇㅇ, ㅋㅋ 등의 인터넷 용어를 실제 생활 속에서 말로 구사해본 기억은 거의 없을 겁니다. 특히 역할극이라는 특수한 배경에서는 더욱이 이것이 비합리적인 경우가 잦습니다. 이를 메타게이밍이라 지칭합니다. 문장으로 완결된 구어체를 사용하여야 규칙에 위반되지 않습니다.


Power Gaming
현실에서 불가능한 행위를 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행위를 파워게이밍이라 지칭합니다.

[list[*] 예시: 자동차를 한 손으로 가볍게 들어 던져버린다.[/list]


NLR(New Life Rule)
역할극 도중에 죽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렇게 되면 당신 캐릭터는 죽기 이전과는 아예 다른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이전에 알던 친구들도, 알던 것들도 전부 잊어버리게 됩니다!

그러나 항상 그렇게 극단적으로만 가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은 자신이 죽었다는 사실이 없어지고 죽기 직전에 겪었던 일을 잊습니다.
이 규칙은 서버마다, 상황마다 그 규칙이 다르므로 다른 사람들에게 OOC로 조언을 구하시거나 관리자에게 문의하시는 게 좋을 것입니다.[/code]


STM(Shoot To Miss)
대부분의 역할극은 현실과는 달리 총기를 접할 일이 잦습니다. STM은 이럴 경우에 지켜야 하는 규칙입니다.
STM를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는 서버나 유저 개개인마다 의견이 상이하게 다릅니다. 그렇기에 이 안내서에서는 한 외국 역할극 서버의 STM 영상을 예시로 첨부해 두었습니다.

STM 규칙을 지키며 플레이하는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oVJMHuF8xPI&t=84s

영상을 보면, 적대적인 팩션의 플레이어를 발견했더라도 정확하게 쏴 맞추지 않고 일부러 빗나가게 발사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STM로, 현실과 같이 자유자재로 엄폐하고 사격술을 구사할 수 없으며, 말을 꺼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RP의 특성에 맞추어 총격전 상황이 좀 더 오래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 규칙입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 상당한 이견 있으므로, STM를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의 기준은 플레이하는 서버의 관리자에게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Free Kill
살인은 매우 중대한 범죄입니다. 그러나 게임 속에서 우리는 다양한 무기를 사용하여 적 NPC나 플레이어를 처치하는 데 익숙합니다. RP에서는 이것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별다른 이유와 정당한 명분 없이 플레이어나 NPC를 마구 살인한다면 프리킬로 간주되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른 규칙들이 있지만 위의 규칙들과 기본적인 에티켓을 지킨다면 충분히 역할극의 고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화하기 (기초)
기본적인 설명
대화에 앞서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실의 자신과 게임 속 캐릭터와의 구분입니다.
현실의 자신이 아는 것을 게임 속 캐릭터가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역할극에는 IC(In Character)와 OOC(Out Of Character)라는 구분이 있습니다.
IC는 캐릭터가 알고 있는 것, 그가 말하는 것 등의 역할극 내에서 볼 수 있는 요소들이 포함되는 반면에, OOC에는 Steam 유저 이름이라던가 서버 관리자 등의 캐릭터가 모를 수밖에 없는 요소들이 포함됩니다.



말하기
게리모드의 일반적인 채팅은 캐릭터가 하는 말로써 간주됩니다. 그렇기에 이를 통해 OOC 요소를 가져오면 안됩니다.
대신 OOC를 위한 채팅이 따로 있는데, 가까운 거리의 사람들만이 들을 수 있는 LOOC(입력 방법은 '[[할 말' 입니다.)와 서버 전체의 유저들이 들을 수 있는 OOC(입력 방법은 '//할 말' 입니다.)가 있습니다.
OOC와 LOOC에는 잦은 채팅을 방지하고 RP에 더욱 몰입하기 위해 제한 시간이 있는 경우가 잦습니다.


일반적인 대화에도 구분이 있는데 바로 속삭임과 외침, 행동입니다
속삭임은 일반 대화보다 들리는 범위가 작아 매우 가깝게 위치한 사람들만 이를 들을 수 있습니다.
입력 방법은 '/w 할 말' 입니다.


외침은 매우 큰 범위로 들리게 되는데, 그렇기에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면 적게 쓰는 것이 좋습니다. 계속해서 고함을 지르면 목이 아프지 않을까요?
입력 방법은 '/y 할 말' 입니다.


캐릭터의 행동이나 표정을 나타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타깝지만 현실에서와는 달리 직접 채팅으로 입력해야만 합니다.
입력 방법은 '/ME 내용' 입니다.


번외로 주변 소리를 표현하고 싶으시다구요? 그럴 때는 '/it 내용'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이것은 캐릭터의 이름이 표시되지 않아 익명성이 있지만, 그렇다고 아무렇게나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대화하기 (심화)
역할극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셨다면 아래에 설명하는 것들도 익혀 두시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S/F
현실에서도 운이 작용할 만한 기적적인 일이 종종 일어나듯이, 역할극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더욱 다채로운 상황을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먼저, 시도하고 싶은 상황을 앞서 설명한 /ME 명령어를 통해 상대방에게 알립니다.
  • /ME 그가 시선을 다른 곳에 둔 틈을 타서 그의 가방을 훔친다. S/F?

그리고 상대방은 그 것을 보고 /ME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음 두 가지 경우로 대답을 하게 됩니다.
  • /ME S
  • /ME F, 그는 그의 가방 속에 든 물건들을 매우 소중히 여기기에 단 한순간도 눈을 떼지 않고 있다.


상대가 S라고 답한다면, 지금 시도하려는 상황에 동의하고 그것을 따라 주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roll 명령어를 사용해 서로 숫자 내기를 하여 더 높은 숫자가 나온 사람이 유리한 방향으로 상황을 이끌 수 있습니다.

반대로 F라고 답한다면, 상대는 예시와 같이 타당한 사유를 들며 그것을 거절할 것입니다.


/roll 명령어와 비슷하게 일부 서버의 경우 캐릭터를 만들 때 분배하였던 능력치를 적용하여 주사위를 굴릴 수 있는 /RollStat 명령어가 추가로 존재하기도 하며, 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rollstat int (지능)
  • /rollstat str (힘)
  • /rollstat stm (민첩성)
  • /rollstat end (지구력)



PM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명령어입니다. '/pm 이름'과 같이 입력하면 당사자에게 귓속말을 보낼 수 있습니다. 이는 OOC로 간주됩니다. 지나치게 OOC와 LOOC 명령어를 남용할 경우 부정적으로 보일 수 있으니 PM을 활용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마치며
역할극의 세계는 한 번 빠지면 빠져나올 수 없을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족한 내용에도 불구하고 역할극에 관심을 가지고 이 글을 여기까지 읽어 주셨음에 감사드립니다!

부족한 점이 있거나 틀린 점이 있다면, 댓글에 간략하게 써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40 Comments
00 19 Feb, 2022 @ 8:08am 
중력523배ㅋㅋㅋ
20261116 31 Aug, 2021 @ 10:55pm 
서버들 지금 살아있긴 함?
La Frosty  [author] 30 Apr, 2021 @ 5:19am 
@Banner 누구신데 이런데다 쌍욕을 박으시는건지 ㅋㅋ
버즈팬13 11 Dec, 2020 @ 6:07am 
옛날에 재밌게 했었는데 ㅋㅋㅋ추억이네 이제
R3kT-M8 18 Aug, 2020 @ 11:33pm 
고자유도 게임을 헬난이도로 만들어서 게리 고인물겜화와 새로운 플레이물 등장 경화에 큰 도움을 준 게임모드,
aeon 12 Feb, 2020 @ 11:27pm 
DPDPDPDPDPDPDPDP 2 Nov, 2019 @ 2:12am 
와 샌즈! 좆병신 RP 는 역시 프리킬이 최고지
reflexi citzen 19 Dec, 2018 @ 6:03am 
멋지군요!
후루야레이 9 Sep, 2018 @ 8:52pm 
도움 되었습니다
太い部屋(有名FLASH) 30 Sep, 2017 @ 9:51pm 
ㅋㅋ성격 멋있네요. 도움은 됬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