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x Legends

Apex Legends

33 ratings
장거리 조준경으로 초장거리 사격하기
By SargoXIII
저격총에서 사용되는 장거리 조준경의 눈금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2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서론
전부터 궁금했었습니다.
에이펙스 레전드의 조준경은 현실의 조준경하고는 보는 방법이 다른데, 이 조준경에 나와있는 수치들은 대체 뭘까...하고.
그러던 중 스코프 사용법을 깨달은 뒤 세상의 끝 맵 오버룩 앞마당 지역부터 공사중인 건물 옥상까지 거리 6백미터가 넘는 저격에 성공해 신이 나서 이 가이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저격총은 장거리 사격시 탄착까지 시간이 많이 걸려서 움직이는 대상을 쏘기에 적당하지 않지만, 안전한 위치에서 지속적인 화력지원을 할 수 있고, 중요한 순간에 밀어 붙일 수 있는 기회를 만들거나 어중간한 엄폐물에서 회복중인 대상에게 헤드샷을 날릴 때 매우 유용하며, 혹은 장거리에서 서로 교전중인 상대팀들의 전력을 깎아 배틀로얄모드에서 판세를 유리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조준경 보는 법은 저격총을 선호하시는 분들께서 꼭 알아 두셔야 할 내용입니다.

https://papago.naver.com/
If you are an English player, use this translator.
Korean to English performance is better than Google.
저격총용 조준경에 표시된 수치들은 대체 뭐지?
왼쪽 : 배율
딱히 설명할 필요 없이 알기 쉬운 확대 배율입니다.

오른쪽: 거리 표시기.
오직 저격총용 조준기에만 달린 옵션으로, 크로스헤어 정중앙을 적에게 조준하면 오른쪽에 대상과의 거리가 표시됩니다.
대상과의 거리가 100미터 이내일 경우 상관 없지만, 100미터가 넘어갈 경우 총알의 궤적이 밑으로 향하기 때문에 아래에 나와있는 대로 약간의 '조정'을 거쳐야 합니다.

가운데 : 거리 보정용 크로스헤어
거리표시기와 함께 저격용 조준경에만 있는 옵션입니다.
거리표시기 자체도 이 거리보정용 크로스헤어를 위해 존재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거리를 알아야 제대로 맞출 수 있으니까요.
중심점 밑으로 2,3,4,5이라 적힌 숫자들은 각각 100미터 단위를 나타냅니다.
만약 대상과의 거리가 200미터일 경우, 2에 맞춰서 사격해야 적중할 수 있는데, 이는 차지라이플을 제외한 모든 저격총(크레이버 포함)이 공유하는 사양입니다.
250미터 거리에 있는 적을 맞추고 싶을 경우, 2와 3 사이로 조준해 사격하시면 정확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크레이버 조준경에는 50미터 거리마다 표시가 되어 있어서 좀 더 사용하기 편하게 되어 있습니다.
사족으로 크레이버 조준경의 크로스헤어는 좌우로 숫자가 들어가 있는데, 현실에서는 바람의 영향을 가늠해서 보정하는 눈금이지만, 에이펙스에서는 바람의 영향이 구현되지 않아 딱히 쓸모는 없습니다.
사격훈련장에서 사격해 보기
사격훈련장 저 멀리 400미터와 500미터 표적이 있습니다.
왼쪽 빨간 동그라미에 400미터, 가운데 빨간 동그라미에 500미터
정 가운데 부분을 노리고 사격 해 보면 조준경의 거리표시가 제대로 적용되는걸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최근 업데이트로 가운데에 있는 마름모에 정확히 적중시키면 크리티컬이 뜨도록 바뀌어서 제대로 사격 했는지 알아보기 매우 쉽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수송선 저 너머로...
700미터 표적이 있습니다. 저격총 연습하라고 잘 만들어 놨네요.

이 곳에 있는 표적은 조준경 눈금이 안들어가 있어서 '감'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옵틱 조준경이 있다면 시즌 11까지는 별도의 도구가 없이도 게임 내에 나오는 아이템만을 이용해서 나름 조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옵틱 조준경은 조준선 주변에 둥글게 진한 영역이 존재하는데요, 이 밑 부분의 모서리를 잇는 점을 중심으로 해서 약간 아래로 조준하면 700m 거리의 타겟을 맞출 수 있습니다.

아래는 대형표적 모서리를 노리고 사격해본 스샷입니다.


시즌 12에서는 옵틱조준경에 있는 저 진한 부분의 범위가 바껴서 예전처럼 조준할 수 없게 됐고, 현재 700미터 과녁을 쐈을 때 맞출 수 있는 위치는 이렇습니다.

만약, 정말로 초장거리 사격을 위해 모든 것을 불태울 각오가 되셨다면, 투명 테이프를 조준선에 맞춰서 모니터에 붙이고, 사격훈련장에서 사격하며 해당 위치에 표시 해 놓는 방법도 있습니다.
맺음말
매일같이 근접전으로 온몸을 불태우고 계신 플레이어 여러분.
남자의 로망인 '저격수'가 될 준비가 되셨습니까?
번외 - 기본 조준경 활용하기
1배율이라도 조준경을 사용할 수 있으면 좋지만 아무리 찾아도 없을 때에는 어쩔 수 없이 총기에 달린 기본 조준경을 쓸 수 밖에 없는 경우도 많은데, 의외로 기본 조준경도 쓸만하고 기본 조준경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해당 무기를 어느 상황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어졌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장거리 사격을 상정한 소총의 경우 이렇게 중심점 밑으로 움푹 들어가있는게 보입니다.
크로스헤어는 위치만 잡고 이 움푹 파인곳에 적을 두고 사격하면 꽤 잘 맞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크로스헤어 점에서 부터 이 움푹 파인곳 끝까지 적을 뒀을 때 머리부터 발 까지 꽉 차면 100미터 거리입니다.

이런식으로 사격하다 보면 스나이퍼 탄환의 특성이 보이는데요, 센티넬로 기본 조준경을 통해 사격해 보면 의외로 탄도 낙차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0미터 거리에 있는 적이라도 아주 조금, 거의 크로스헤어 점 크기만큼만 올려도 적에게 헤드샷을 날릴 수 있습니다.

트리플 테이크는 200미터 까지도 중앙 크로스헤어에 맞춰서 쏘는게 이득이라서 이런식으로 조준하는게 딱히 의미가 없는데다가 조준경이 너무 화려해서 적이 200미터가 넘는다면 상대가 제대로 안보입니다.
G7스카웃은 다른 AR과 비슷한 사양이라 애초부터 사용 방법이 다릅니다. AR처럼 100미터 이내 사용을 전제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번외-가변형 조준경과 연계해서 G7 스카웃 더블탭 트리거 활용하기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하던 화기였는데 캐어패키지 전용 무기로 올라가서 자주 볼 수 없는게 매우 아쉬운 G7 스카웃...보통은 더블탭 트리거를 끄고 사용하게 되지만, 기본 조준경으로 총기의 활용처에 대해 다뤄본 김에 더블탭트리거 활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준비물 : G7 스카웃, x2-4 가변형 스코프, 100미터 이내의 타겟

활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4배율 상태에서 조준점의 윗부분, 동그란 부분을 머리에 맞닿게 조준하고 사격하면

이와 같이 연달아 발사되는 두 번째 사격이 머리에 맞게 됩니다.
100미터 이내라면 몸통을 조준하는 것 만으로 조건이 충족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자주 맞출 수 있습니다.
2 Comments
TomsR6S 11 Aug, 2022 @ 8:21pm 
오 단순 장식이 아니였네:steamhappy:
초코나라골목대장 14 Jan, 2022 @ 4:49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