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ngeon

Zengeon

Not enough ratings
神明在上Zengeon Tips & Strategy - Korean Version
By Freakin C
직접 플레이 해보면서 느꼈던 점들을 정리하여, 간단한 팁과 전략 등에 관해 서술합니다.
간단한 것 치고는 겁나 길긴 한데... :(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캐릭터 가이드
시작하기 전에:

1. 본 가이드는 영어판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한국어판은 오역이 너무 심각하여 오히려 플레이에 방해가 될 정도 입니다. 가급적이면 영어버전으로 플레이 하시는걸 권장합니다.
2. 필자가 중국어를 읽을 수 없기 때문에, 일부 중국어 단어는 번역기를 통해 읽었습니다. 번역이 이상한 점은 지적 부탁드립니다.


이 게임은 로크라이크 RPG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RPG 게임입니다. 한번 죽으면 모든 진행과정과 아이템이 날아갑니다.
철저히 생존을 위주로 하면서 게임을 풀어 나가야 합니다!




처음 시작하면 조작 가능한 캐릭터는 袁子玉 (위안 지유, 중앙), 侯淑彦 (후 슈얀, 왼쪽에서 4번째) 로 2명입니다.
위안 지유로 클리어 하면 慕容雨琴 (무롱 유친, 맨 왼쪽)이 해금되고, 후 슈얀으로 클리어 하면 何若琳 (그누 올린, 맨 오른쪽)가 해금됩니다. 柳慕櫻 (리우 무잉, 왼쪽에서 2번째) 는 아무나 클리어하면 해금됩니다.


1. 위안 지유는 이도류를 구사하는 근접 캐릭터 입니다.

공격 범위는 짧지만 넓으며, 공격속도가 빠릅니다.
2번 스킬은 이동기이자 긴급회피기 이며, 공격 판정이 있습니다. 이동 거리가 비교적 긴 편입니다.
3번 스킬은 전방에 회전하는 검을 소환하는 것으로, 지속공격 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4번 스킬은 1초간의 무적시간 및 시동시간을 가지고 있는 (이른바 궁극기) 기술이며, 전방에 단타성 타격을 가합니다.

게임 진행상 둘러쌓일 일이 많기 때문에 난전에서 크게 빛을 발하는 캐릭터 이지만, 원거리 몬스터를 상대할 때는 조금 조심해야 합니다.
1번 스킬은 4레벨까지 올릴 수 있으며, 4레벨이 되면 공격속도가 증가하고 공격 범위가 좁아지는 대신, 길어집니다. (가로 베기 -> 세로 베기 및 난무)

근거리 대응 전략: 3 -> 검 중심으로 이동 -> 4 -> 1
3번 스킬로 달려드는 적들을 견제할 수 있고, 4번으로 포위를 뚫을수 있습니다.

원거리 대응 전략: 2 -> 3 -> 1 또는 4
2번 스킬로 먼저 접근한 다음, 3번 스킬로 적에게 경직을 가한 뒤 잡아냅니다. 위험하다면 4번 스킬의 무적시간을 활용해 잠깐 버틸 수 있습니다.

추천 장비: 확률 발동형 공격 장비 (Puresky Stamp, Divinities Seal 등)


2. 후 슈얀은 에너지를 활용하는 원거리 캐릭터 입니다.

공격범위는 길지만 좁으며, 공격속도는 빠른 편 입니다.
2번 스킬은 이동기이자 긴급회피기 이며, 공격 판정이 없습니다. 이동 거리는 짧은 편입니다.
3번 스킬은 부채꼴 형태로 에너지를 발산하는 공격이며, 범위 공격 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4번 스킬은 1초간의 무적시간 및 시동시간을 가지고 있는 궁극기 이며, 전방에 단타성 타격을 가합니다.

전방으로 몰려오는 대량의 적을 상대할 때는 적합하지만, 둘러쌓이면 목숨이 심히 위험해지는 어려운 캐릭터 입니다.

1번 스킬을 4레벨 까지 올릴 수 있으며, 올리면 공격속도가 빨라집니다.

근거리 대응 전략: 3 -> 4 -> 뒤로 2 -> 1
3번 스킬로 양념을 치고, 4번으로 마무리를 짓습니다. 죽지 않았다면 뒤로 도망가서 쿨타임이 돌아올때 까지 평타로 상대합니다. 단, 절대로 둘러쌓이면 안됩니다.

원거리 대응 전략: 2 -> 4 -> 3 또는 1
공격거리가 생각보다 길지 않기 때문에 약간 다가가서 싸워야 합니다. 원거리형 적들의 맷집이 약하다는 걸 이용하여 4, 3 순으로 사용합니다.

추천 장비: 확률 발동형 공격 장비 (Puresky Stamp, Divinities Seal 등), 이동 속도 상승 장비 (Scud Boots, Polychrome Magic Ring)

긴급 회피기의 성능이 좋지 않기 때문에 부족한 기동력을 이동속도 상승 장비로 보충하는게 좋습니다.



3. 리우 무잉은 우산을 사용하는 근접 캐릭터 입니다.

공격 범위는 넓으며, 공격속도는 느립니다.
2번 스킬은 우산을 펴서 돌진하는 긴급회피기 이자 공격기 입니다. 이동거리는 짧지만 데미지를 줌과 동시에 적을 밀어낼 수 있습니다.
3번 스킬은 우산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서 주변을 공격하는 기술입니다. 지속 공격 판정이 있습니다.
4번 스킬은 기합과 함께 일정시간 데미지를 반감 시키는 쉴드를 부여 합니다. 기합에 공격 판정이 있습니다.

대검 캐릭터와 운용이 비슷합니다. 느린 공격속도를 염두해 두면서 교전해야 합니다. 또한 평타의 세번째 타격을 제외하고는 공격 범위가 좁기 때문에 이 또한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1번 스킬을 4레벨 까지 올릴수 있는데, 올리게 되면 공격범위가 대폭 좁아지는 대신 공격속도가 매우 빨라집니다. (가로 베기 공격 -> 찌르기 공격으로 변경) 캐릭터 특성이 완전히 바뀌어 버리기 때문에 올리기 전에 고민을 하셔야 합니다.

근거리 대응 전략: 3 -> 2 -> 1
3번을 쓴 상태로 2번을 쓰면 회전하는 우산도 같이 움직여 공격범위가 매우 넓어집니다. 돌진하는 동안은 무적이니 이를 이용하면 상당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원거리 대응 전략: 4-> 3 -> 2 -> 1
우선 데미지를 최소화 할수 있게 4번을 쓰고, 나머지는 근거리와 동일하게 처리합니다.

*평타 4레벨 달성시
근거리 대응 전략: 3 -> 1 -> 2
보험삼아 3을 먼저 쓰고, 1로 적을 공격하다가 위험하면 2로 마무리 합니다. 공격 범위가 매우 좁아지기 때문에 공격범위 보충을 위해 3을 쓰는 점도 있습니다.

원거리 대응 전략: 2 -> 4 -> 1
돌진하고, 경직 및 실드 걸고, 썰어버립시다. 공격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쉽게 대응이 가능합니다.

추천 장비: 피격 발동형 장비 (Intangible Blade), 이동 속도 상승 장비 (Scud Boots, Polychrome Magic Ring)

이동기의 거리가 좁기도 하고, 공격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좋은 위치를 먼저 선점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스킬 구성상 피격되도 버틸수 있기 때문에 피격 발동형 장비들이 빛을 발할 수 있습니다.



4. 그누 올린은 지팡이를 사용하는 원거리 캐릭터 입니다.

공격범위는 매우 좁지만 가장 길며, 공격속도는 제일 빠릅니다. (레이저)
2번 스킬은 전방으로 순간이동 하는 것으로, 이동거리가 제일 길고 빠르지만 공격판정이 전혀 없습니다.
3번 스킬은 자신을 중심으로 3개의 마법구를 나선형으로 발산시키는 것으로, 리우 무잉의 3번 스킬과 비슷하지만, 공격판정이 더 좁고 발산 속도가 느립니다.
4번 스킬은 1초의 무적시간과 함께 전방에 마기를 발산하는 것으로, 전방에 단타성 타격을 가합니다.

1번 스킬은 3레벨 까지만 올릴 수 있습니다.

최상급 기동력과 강력한 평타가 함께하는 좋은 캐릭터 이지만, 적이 근접했을때의 대응책이 미흡하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운용해야 합니다.

근거리 대응 전략: 뒤로 2 -> 3 -> 1 -> 4 (너무 붙으면)
우선 사거리 부터 확보해야 합니다. 3번은 발산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미리 쓰는게 좋고, 거리를 벌린 뒤 평타로 요격합니다. 너무 가까이 붙으면 4번으로 마무리 합니다. 단, 적에게 둘러쌓이면 안 됩니다.

원거리 대응 전략: 2 -> 1
사거리가 안닿으면 접근해서 싸웁시다.

추천 장비: 확률 발동형 공격 장비 (Puresky Stamp, Divinities Seal 등)

공격속도가 제일 빠르기 때문에, 최고의 효율을 볼 수 있습니다.



5. 무롱 유친은 채찍을 사용하는 원거리 캐릭터 입니다. 전 캐릭터 중에서 유일하게 걸어다니기 때문에 이동 속도도 느립니다.

공격범위는 후 슈얀과 비슷하지만 속도가 느린 편입니다.
2번 스킬은 이동기이자 긴급회피기 이며, 스킬을 발동한 지점에 공격 판정이 있습니다. 이동 거리는 짧습니다.
3번 스킬은 자신을 중심으로 십자 방향으로 회오리를 날리는 기술입니다. 관통 판정이 있습니다.
4번 스킬은 정령을 소환하여 자신을 중심으로 장판을 설치하는 기술입니다. 장판 내부에 있는 적은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입으며, 스킬 레벨을 올리면 뿌리가 돋아나 적을 하나하나 요격합니다.
스킬 레벨에 따른 변화가 있는 스킬로, 레벨을 올릴수록 데미지는 증가하지만, 데미지를 입히는 주기가 길어집니다.

캐릭터의 기본 성능은 매우 안좋지만, 그 단점을 스킬로 커버하는 캐릭터 입니다. 3번과 4번 스킬의 효율이 너무 좋기 떄문에 이것을 극대화 시켜야 하고, 느린 이동속도를 보충하는 식으로 플레이를 해야 합니다.

1번 스킬은 3레벨 까지만 올릴 수 있습니다.

근거리 대응 전략: 3 또는 4 -> 2 -> 1
너무 붙었으면 3, 그렇지 않다면 4를 쓰고 2로 거리를 벌린 다음 잡아냅니다. 채찍인데도 불구하고 직선으로 밖에 못 뻗기 때문에 눈물나게 좁은 공격 범위를 극복하기 위한 위치를 선점해야 합니다.

원거리 대응 전략: 2 -> 3 -> 1
2를 날리게 되는 셈이긴 하지만, 공격 범위가 좁으니 먼저 진입해서 공격 판정이 넓은 3으로 제압해야 합니다.

추천 장비: 확률 발동형 공격 장비 (Puresky Stamp, Divinities Seal 등), 이동 속도 상승 장비 (Scud Boots, Polychrome Magic Ring), 쿨타임 감소 장비 (Ring of Sheen, Esports Mouse 등)

3, 4번 스킬로 확률 발동을 위한 타격수를 확보 가능합니다. 하지만 부족한 캐릭터 이동속도를 보충해줘야 하고, 밥줄인 3, 4번 스킬의 쿨타임을 최대한으로 당겨야 하기 때문에 템 파밍이 상당히 힘듭니다.
장비 가이드
장비는 엘리트 몬스터 (바닥에 마법진이 그려져 있는 적들)을 격파하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기도 하고, 맵에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꿀벌을 격파하여 얻어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장비 상자를 열어 얻을 수도 있습니다. (골드 소모)

장비에는 확률 발동형 공격 장비와 확률 발동형 방어 장비, 스텟 장비, 패시브 장비가 있습니다. (장비 종류에 대한 공식 명칭은 없습니다. 이 가이드에선 모두 필자가 임의로 칭한 명칭을 사용합니다.)

전체 장비 리스트는 이 가이드를 참고하면 좋습니다.
(https://gtm.steamproxy.vip/sharedfiles/filedetails/?id=1796461461) (주의: 영어)


1. 확률 발동형 공격 장비는, 플레이어가 공격을 하여 적을 맞추었을때 발동하는 장비들입니다. 공격형, 정령 소환형, 장판형, 버프형, 공격형 이 있습니다.

1-1.공격형은 공격시 원소구 또는 원소 폭탄이 생성되어 적을 공격합니다. 속성에 따라 디버프를 부여하기도 할 수 있고, 소규모 접전에서 유용한 장비 입니다. (Divinities Seal, Chillynight Jade Helmet 등)

1-2. 정령 소환형은 NPC 캐릭터인 정령이 소환되어 공격을 가하는 장비로, 정령은 피격판정이 없습니다. 효율이 별로 좋지 않은 장비로, 피해량도 적을 뿐더러 (스킬 데미지의 8%) 구석에 있는 적을 잡는데는 유용하지만 난전에서는 허술한 AI로 인해 별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피격 판정이 없어도 공간은 차지 하기 때문에 이동할때 걸리적 거릴수도 있어 추천하지 않는 장비입니다. (Rosefinch Compass, Polarisjade Token 등)

1-3. 장판형은 공격시 캐릭터 주변으로 장판이 설치되어 지속 데미지를 가하는 장비입니다. 어느 상황에서나 최고의 효율을 자랑합니다. (Puresky Stamp, Purplecloud Flame Seal 등)

1-4. 버프형은 공격시 플레이어에게 버프를 부여하는 장비입니다. 스텟을 증가시켜주거나, 적을 죽일때 쿨타임을 초기화 시켜주거나, 체력을 회복시켜주거 합니다.

*Esports Mouse (적을 죽일때 확률적으로 쿨타임 초기화)는 거의 필수 장비 중 하나입니다. 특히 무롱 유친에게는 최고의 장비 중 하나이니 나오면 모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최대 스택시 15% -> 27%)
*Qian Kun Mirror (적 공격시 확률적으로 체력 회복)도 초반에 매우 좋은 장비 중 하나입니다. 체력 회복수단이 적은 초반엔 최고의 동반자 중 하나입니다.
*Divison Knife 2 (2번 스킬 적중시 체력 회복) 은 일부 캐릭터에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장비입니다. (후 슈얀, 그누 올린) 이동기에 공격 판정이 있는 캐릭터만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2. 확률 발동형 방어 장비는 플레이어가 피격될 때 확률적으로 발동하는 장비들 입니다. 공격형과 체력회복형이 있습니다.

2-1. 공격형은 피격시 확률적으로 공격기가 발동하여 적에게 데미지를 입히는 장비입니다. 3가지 장비가 있습니다.

*Intangible Blade (피격시 6m까지 뻗어나가는 양방향 장풍 발생) 이 제일 효율적입니다.
*Godsthunder Token (피격시 4개의 전기구가 주변으로 회전함) 은 간격이 너무 넓어서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Earth Cup of Golden Palace (십자 방향으로 암벽이 생성되어 적의 접근을 차단함) 은 적이 다가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에 활용에 한계가 있습니다.

2-2. 체력회복형은 특정 원소 공격에 피격시 데미지의 n%를 흡수하는 것입니다. 별로 효율적이지 못한데, 해당 원소의 데미지만 흡수 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떨어집니다. 애초에 적이 사용하는 원소공격의 가짓수 부터 매우 적습니다. (번개, 바람) (Mirror 계열)


3. 스텟장비는 장비시 스텟을 변화시키는 장비들입니다. 스텟을 단순히 증가만 시켜주는 장비도 있지만, 증가와 동시에 특정 스텟을 감소시키는 장비도 있습니다.

*Spiritual Cicada Cloak (회피율 5% 증가)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투자 대비 효율이 너무 낮습니다.
*KS lll Lotion (이동력 감소, 공격력 증가)는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이동속도가 낮아지면 보스전에서 고전하기 떄문입니다. 만일 쿨타임 감소 장비 파밍이 완료되었다면, 데미지 버프를 위해 채용하는건 괜찮습니다.


4. 패시브 장비는 장비시 특정한 능력을 부여하는 장비입니다. 확률형이 아니기 때문에 있으면 매우 유용합니다.

*Coin-made Sword (적 사살시 반경 2m 내에 동일한 데미지를 입힘) 은 난전에서 최고의 효율을 자랑합니다.
*Ring of Sheen (쿨타임 10% 감소) 는 필수 장비 중 하나입니다. 풀 파밍이 힘들다면 한 개만이라도 먹는게 좋습니다.
*Scud Boots (이동속도 6%증가) 는 일부 캐릭터에겐 필수 장비 중 하나입니다. (리우 무잉, 무롱 유친)
*Ruyi (7초마다 체력 10 회복) 은 초반에 매우 좋은 장비 중 하나입니다. 체력 회복 수단이 부족한 초반에는 잠시 물러나서 시간을 보내면서 체력을 회복하고 다시 싸우는 전략을 취하는게 좋습니다.
*Cloudgrain Helmet (체력회복 아이템 효율 50% 증가) 는 본격적으로 맞으면서 싸울 수 있게 해주는 장비 중 하나 입니다. 체력 회복량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다른 회복 관련 장비들을 파밍하기 곤란할 때 이것만이라도 챙겨놓는게 좋습니다.


5. 이외에 사용 가능한 아이템 들이 있습니다. 설치형, 발동형, 복용형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효율이 낮아 버려지지만, 복용형 아이템은 가장 사용하기 좋습니다.
단, 복용형 아이템은 다른 아이템을 소모해서 보충해야 합니다.

*Yujing Bottle (체력 50% 즉시 회복) 이 체력 회복에는 제일 좋습니다.
*Heavy Potion (8초간 슈퍼아머 부여) 는 포위망을 돌파할 때 좋습니다.
장비 파밍 및 생존 전략
사실 본 게임에 정석은 없습니다. 애초에 랜덤적인 요소가 너무 많아서 전형적인 운빨 좆망겜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반 생존에 중점적으로 기술을 하고자 합니다.



1. 어떻게 버틸 것인가?

이지 난이도 기준으로도 캐릭터들은 몇대 맞으면 바로 빨피가 됩니다. 피격후 무적시간 같은건 당연히 없고, 적에게 둘러쌓이는 순간 바로 끔살이 확정되어 있기 때문이죠.

우선 시작하면 1번 슬롯에 Yujing Bottle이 있습니다. 적을 처치하거나 주변 오브젝트를 파괴해서 나오는 녹색 체력 회복 구를 제외하곤 이것이 거의 유일한 체력 회복 수단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플레이어들은 적들을 나눠서 처치하고 (적이 보이면 조금씩 이동해서 적을 끌어오고 처치), 주변의 파괴가능한 오브젝트들을 모두 열어서 체력 및 경험치 구를 회수해야 합니다.

체력이 부족하면 즉시 빼고 천천히 진입하세요. 이 게임의 시간 제한은 없습니다. 적은 체력이 자동회복 되지 않으므로 이걸 이용해서 천천히 말려 죽이시면 됩니다.

이는 후반에 가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후반에는 적의 공격에도 어느정도 버틸수 있어서 체력회복이 크게 와닿지 않는데, 한순간의 실수로 체력을 대폭 잃고 나면 생각이 바뀔겁니다.



2. 초반 템 파밍은 어떻게 할 것인가?

장비를 얻기 위해서는 적을 처치함으로써 드롭되는 장비를 제외하고는 결국 장비상자를 열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엔 돈이 소모됩니다.

장비상자를 열면 2개의 장비를 제공하고, 이중 한개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필자가 생각하는 장비 선택의 중요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체력회복 >>>>> 넘사벽 >>>>> 확률 발동형 공격 장비(최소 1개는 확보) > 쿨타임 감소 > 이동속도 > 나머지

초반에는 체력 회복 구 만으로는 들어오는 데미지를 감당할 수가 없습니다. 플레이어의 데미지가 약해서 적을 빠르게 줄이지도 못할 뿐더러, 그로 인해 손쉽게 포위당하고 끔살당하는 패턴이 반복되기 때문이죠.
Ruyi (7초마다 체력 10 회복) 나 Qian Kun Mirror (적 공격시 확률적으로 체력 회복), Divison Knife n (n번 스킬 적중시 체력 회복), Cloudgrain Helmet (체력회복 아이템 효율 50% 증가) 가 초반에 등장해주면 초반 버티기는 순조롭게 진행될 것 입니다.

*중요한 것은, 방어형 아이템이나 정령 소환형 아이템이 나왔다고 해서 안먹는 것은 절대 안됩니다. 나중에 성소에서 돈주고 바꿀수도 있고, 아이템이 없는 초반에는 없는것 보단 몇배 더 낫기 때문이죠.



3. 속성 장비를 맞춰서 파밍해야 할까?

'캐릭터 마다 속성이 존재하는데, 공격 장비도 이에 맞춰줄까' 하고 고민하는 플레이어들도 있을 겁니다.

결론 부터 이야기하면, 템 파밍 상태에 따라 맞추라고 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리우 무잉은 캐릭터 고유 패시브로 대지속성 데미지 20% 증가 가 있습니다. 그런데 파밍 하는데 대지 속성 템은 하나도 안나온다면, 아무 의미가 없는 패시브가 되겠죠.

필자는 얼음 속성이 제일 좋은 속성이라 생각합니다. 불이나 대지 처럼 지속데미지를 먹일 수 있는 속성도 딜링엔 나쁘지는 않지만, 다구리 당하는게 일상인 이 게임에서는 CC기로 한번에 상대할 적을 줄이는게 더 유리합니다. 전기 속성도 CC기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장판기가 아니라서 범용성이 조금 떨어집니다.

그러니 캐릭터 속성 상관없이 일단 나오는데로 주워먹되, 마땅한 속성이 안보이면 얼음으로 맞추고, 캐릭터 속성에 맞는 아이템이 많이 나오면 그쪽으로 맞추면 됩니다. 어차피 속성 중복은 가능하니 얼음 + a 로 맞춰도 됩니다.



4. 장비냐 경험치냐

후반부에 가면 돈이 부족해서 장비 상자를 열어야 할지 경험치 상자를 열어야 할지 고민하는 상황이 옵니다. 스테이지를 넘어갈 수록 상자 개봉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것 역시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레벨업을 위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플레이어의 데미지는 공격력 스텟에 좌우 됩니다.
장비의 데미지는 별도의 공식이 기재 되지 않았다면, 플레이어의 공격 스텟을 따라갑니다. 또한, 장비를 중첩할 수록 오르는 스텟이 정해져 있는데 이 스텟이 특성 발동 확률을 높이거나 딜량을 높이는게 아니라면 후반부의 장비 파밍에 있어서는 별로 이득이 없습니다. (즉, 추가 데미지를 입힐 확률이 증가해야만 파밍하는 가치가 있습니다.)
거기에, 마지막 에리어까지 오는 시점에서는 사실상 장비 파밍은 거의다 끝나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본인은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 거기까지 버틴것 만으로도 충분합니다.)


플레이어들이 모든 경험치 구를 먹어가면서 플레이 한다고 가정했을때, 첫 월드 진입시 몬스터들의 평균 레벨은 캐릭터 레벨 + 1 ~ 2 입니다.

초반에 그렇게 잘 죽어가는 이유중 하나가 바로 이 레벨 차이 때문입니다.
그런데 레벨 업을 거쳐서 레벨 차이를 똑같이 1~2만 내어도, 적을 상대하기는 엄청나게 수월해집니다.


그러니, 레벨 업을 위주로 육성 진로를 잡는게 좋습니다. 남은 에리어 수는 에리어 진입시에 표시 되므로 이를 통해 계산하면서 판단하면 대충 예상이 될 것입니다. 허나, 마지막 에리어에선 장비상자를 열어도 괜찮을 때가 있는데, 남은 경험치 상자 개봉 만으로는 레벨업이 불가능 할 때 입니다.

당연히 최종보스는 경험치를 주지 않고, 설령 주더라도 그대로 게임이 끝나니 아무 의미가 없기 때문이죠.



5. 스킬 레벨업?

스킬 강화 석이 나오면 어떻게 투자할까, 고민하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이지 난이도는 스킬 강화석이 약간 모자라게 나오는데 (어쩔때는 넘칠때도 있습니다. 이것도 랜덤인듯 합니다.), 하드는 오히려 넘칠정도로 많이 나옵니다.

강화 순서는 자신이 주력으로 쓰는 스킬부터 하시면 됩니다. 전반적으로는 데미지 증가인데, 무롱 유친의 경우, 4번 스킬은 발동 주기가 달라지는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평타 4강이 가능한 캐릭터들 (위안 지유, 후 슈얀, 리우 무잉) 은 모션 및 공격 판정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번씩 써보고, 적절하다고 생각 드는 기술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마치며...
가격이 비싼 게임은 아닙니다만, 솔직히 그렇게 재미있지는 않아요...

그냥 그런 게임이 있었구나, 하는 식으로 넘어가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온라인 코옵기능은 지원하지만, 그냥 친구들을 모아서 하는게 좋습니다.

아, 물론 이 게임을 해 줄수 있는 친구를 먼저 구해야겠죠.


마지막으로, 본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코스튬들을 전시하고 마치겠습니다.
(할로윈 코스튬은 기간한정 접속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었는데, 그때는 게임 사기 전이라 없습니다 :) )



후 슈얀

수영복 [하드모드 클리어]


추가 코스튬 [이지모드 클리어]



리우 무잉

수영복 [하드모드 클리어]


추가 코스튬 [이지모드 클리어]



그누 올린

수영복 [하드모드 클리어]


추가 코스튬 [이지모드 클리어]



무롱 유친

수영복 [하드모드 클리어]


추가 코스튬 [이지모드 클리어]



위안 지유

수영복 [하드모드 클리어] - DLC도 다운로드 안했고, 클리어도 안해서 없습니다. 남캐인데 왜 클리어 하.... ㅋㅋㅋㅋㅋㅋ


추가 코스튬 [이지모드 클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