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il: Frontier Challenge

The Trail: Frontier Challenge

Not enough ratings
더 트레일 한글가이드 (2017.8.30 최종 수정)
By sutoto
더 트레일 시작마을부터 끝마을까지 진행하며 도움이 될만한 각종 팁과 정보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가이드에 앞서
본 가이드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관점에서 쓰여졌습니다. 그리고 정확한 데이터의 제시가 아닌 시작마을부터 끝야영지까지 진행하며 터득한 이런 저런 팁과 정보에 대해서 공유합니다.
직업
현재 5가지의 직업이 있다.

탐험가 - 배낭제작 , 광물,석재 채집,보관에 특화 / 속도 및 체력 패시브 스킬 존재
사냥꾼 - 새총제작 , 사냥을 통한 가죽 및 고기 채집,보관에 특화
벌목꾼 - 도끼제작 , 벌목을 통한 목재 및 부산물(버섯,사과,열매,알) 채집,보관에 특화
요리사 - 요리제작 및 가공,보관에 특화
재단사 - 의상제작 , 의상재료(깃털,실뭉치) 가공 및 보관에 특화

각 직업별로 스킬을 올리면 단계에 따라 [ 초보자->수련가->숙련가->전문가->달인 ]의 5단계로 표시됨
스킬
스킬포인트는 다음의 4가지 방법으로 획득가능하다.

-새로운 야영지에 도착
-거래미니게임에서 1위 달성시 랜덤지급 ( 5단계 아이템 또는 10포인트 또는 20포인트 )
-각 캠프에서 주는 챌린지 완료
-내 목표달성 ( 게임화면 우측이나 내 여정 매뉴에서 확인 가능 )

5가지 직업의 모든 스킬을 마스터할 수는 없기때문에 각 직업스킬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설명.
맵의 끝까지 모든 챌린지 및 목표를 완료하고 거래미니게임 1위에서 얻은 보너스포인트를 합쳐 대략적으로 6300 포인트 정도를 획득가능하다. 거래미니게임으로 몇포인트나 더 얻을 수 있을지는 미확인

*공통사항 : 제작재료들은 1티어~3티어까지 3단계인데 1티어 관련 스킬투자는 비추천. 게임 초반에도 캠프거래에서 싸고 많이 확보할 수 있기때문에 직접 채집이 더 번거롭고 효율이 낮다.

*각 직업별 가구스킬은 각 직업의 제작품 내구도를 올려준다.(요리는 회복량 증가)

*추천도는 ★~★★★ (비추천-추천-매우 추천) 총 3단계로 표시

1. 탐험가

- 배낭제작 ★: 배낭은 각 캠프의 거래 또는 기구상인이 파는 배낭을 사도 큰 불편이 없었다. 물론 관련스킬 및 전용가구를 집에 설치한후 직접 제작하면 내구도가 훨씬 높게 ( 약 3배?)제작 가능하지만 상점표도 기본 내구도가 넉넉한 편

- 광물 및 석재 보관 ★★: 광물 및 석재는 부피가 커서 배낭이나 상자의 공간을 매우 많이 차지한다. 은괴나 금괴는 부피가 그나마 작기때문에 몰라도 기본 광석 및 석재의 보관스킬 1단계(3개 중첩가능)은 나쁘지 않음

- 속도 및 체력 패시브 ★★★: 속도 3단계스킬을 투자하면 기본속도 3칸이 늘어난다. 속도=내 허용 무게이기 때문에 최대투자 추천하며 최후반 시간내 도착 챌린지의 경우 최고속도 의복에 출발점부터 스프린트를 해도 골인하기 힘든 챌린지가 몇개 있기때문에 최고숙련추천, 체력은 이동중 요리로 계속 채우면 못버틸정도는 아니기때문에 취향껏

2. 사냥꾼

- 새총제작 ★: 새총도 물론 스킬+가구버프 효과를 포함 직접 제작하면 높은 내구도로 제작 가능하지만 상점표를 사서 써도 큰 불편이 없었다.

- 가죽가공 및 보관 ★★ : 가죽도 부피가 꽤 나가는 재료. 나중에 제작품질 상승효과 가구를 집에 설치한후 1티어 가죽재료 3개로 2티어 가죽을 만들면 최고품질의(5등급) 재료를 확보 가능. 스킬은 1단계 (가공)->2단계 (중첩보관)-> 3단계 (더많은 수량 중첩보관) 단계로 나아가는 형태인데 괜찮다고 생각함.

- 사냥효율 증가 ★ : 각 동물 아이템 획득량 증가 및 만날 확률 증가는 1단계만 찍어도 확실히 체감이 되지만 야영장에서 다음 야영장까지 이동하면서 배낭을 못채운 적이 없기때문에 굳이 찍어야하나 의문.

-고기관련 ★ : 사냥할때마다 고기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기때문에 굳이 찍어야하나 의문

3. 벌목꾼

- 도끼제작 ★: 도끼도 역시 배낭,새총과 같은 이유로 비추천

-나무가공 및 보관 ★★: 나뭇가지도 가공스킬로 상위티어 나뭇가지로 변환시 제작품질 상승버프효과시 최고등급으로 확보가능하기때문에 가공스킬까지는 찍어주는게 좋다. 그런데 부피가 크지는 않기때문에 보관까지는 취향껏 찍자. 통나무의 경우는부피가 커서 3개 중첩까지는 찍어주는게 좋다고 생각함 ( 물론 1티어 통나무는 말고 2티어 자작나무 통나무부터 )

-벌목부산물 관련 ★: 사과,버섯,열매,알의 재료가 벌목시 랜덤으로 획득가능한데 굳이 찍어야 하나라는 생각. 쓰임새도 많지는 않다.

4.요리사 ( 직접 요리하거나 재료소비용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면 돈이 충분하다는 가정에서 상점에서 그때 그때 사서 써도 큰 지장없기때문에 각 음식별 소감으로 대신한다 )

요리사의 요리는 각종 버프효과가 있는데 버프효과별로 설명
각 요리스킬은 1단계는 제작레시피 오픈, 2단계부터 중첩보관 가능이다.

-동상,열사병 치료 : 종류별로 1~3까지 제거해주는데 춥거나 더운지역 지날때 2~3개정도만 가지고 있으면 크게 지장이 없었다. 물론 해당지역 기후에 맞는 의복을 입었을시.

-진흙치료(?) : 종류별로 1~2까지 가능한데 2를 제거해주는 호박스프의 재료인 호박부피가 매우 크다. 광석보다 약간 더 큰편.

-덜배고픔,추가체력 : 물론 있으면 좋은 버프지만 없어도 큰 불편없었다.

-속도증가 : 1~5단계까지 버프 가능하다. 속도는 매우 유용하다. 최대속도가 높으면 들수있는 무게도 많아지고 무게가 꽉차서 매우 느리게 움직일때 속도 1+ 음식만 먹어도 좀더 빨리 이동이 가능하며 맵 최후반의 경주챌린지나 시간내에 도착 챌린지시 배낭을 비우고 제일 속도빠른 옷을 입어도 클리어하기 힘든 경우가 있기때문이다 이럴때 속도증가 음식을 먹어주면 좋다. 버팔로 파이가 +5증가로 가장 높지만 광석 2개분의 부피를 차지한다.

5.재단사

의복의 경우 캠프거래품과 제작품의 품질차이가 약 3배이상 난다. 상점표 5등급짜리가 6~7내구도면 직접 제작의복(3단계 제작법 마스터+가구의 품질버프)의 경우는 18~20. 맵 2~3개만 통과해도 너덜너덜해지는 상점표에 비해 제작품의 효과가 월등하므로 제작스킬은 매우 추천한다. 단 버프효과에 따라 티어에 따라 차이가 있음

또한 가구 및 스킬의 효과로 향상된 내구도 증가효과는 공동선반을 통해 다른 유저에게 넘겨줬을경우 증가효과가 없어진다. 20내구도짜리 제작 옷을 공동선반으로 친구에게 넘겨주면 친구는 내구도 6짜리의 옷을 공동선반에서 찾는 것. 따라서 자신이 입을 옷은 자신이 만들어야 효과를 볼 수 있기때문에 이점 유의해야한다.

-방한,방열의복 제작 ★★ :최고티어의 겨울용 의복(방한),유목민 의복(방열) 80%감소 효과가 있다. 그 이전 티어의 방한 및 방열복장들은 외형때문에 입는다면 모를까 3단계까지의 마스터는 비추.



-진흙감소 의복 ★★★ :습지같은 지형에서 진흙에 빠져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데 현재 최고티어 유물의복 세트의 진흙효과 감소가 제일 높다. 유물의복의 경우 냉기와 열기에 60% 감소효과도 있어 사실상 모든 맵에서 입기 무난하다. 단 최고티어의 옷인데 아메리카 원주민 복장인 것은 감안하자.



-굶주림 완화,음식보너스 ★ :음식을 넉넉히 챙겨가면 해결가능하기때문에 기능상으로는 추천하지 않는다. 다만 외형때문이라면.. 맵의 끝까지 가면 얻을 수 있는 '사냥의 달인 의복세트'가 굶주림 완화 30% 음식보너스 30% 효과를 준다.



- 거래보너스 ★ : 실크의복세트 풀착용시 거래보너스 100%가 추가된다, 100%라는건 2배의 가격으로 파는 것이기때문에 캠프거래시 매우 유용하지만 게임내에서 왠일인지 팔때뿐만 아니라 물건을 살때도 2배의 가격으로 산다. 거래보너스말고 특별히 버프가 없기때문에 캠프거래때문에 야영지에서 야영지로 바로 이동할때만 입어줘도 충분하기때문에 상점표를 입어도 큰 지장없다.



*실크 의복,사냥의 달인,겨울옷,유목민,유물의복 세트 착용 이미지



결론 :

-재단사의 사용할 레시피 및 재단사 가구는 최대숙련, 탐험가의 속도패시브 최대숙련 추천

-배낭,도끼,새총은 제작스킬 및 클래스 가구스킬을 찍고 제작하는 것이 아닌 캠프거래 및 기구상인에게서 필요할때마다 구입해서 쓰는 것을 추천.

-의복은 방한,방열,진흙저항 최고티어의복의 경우 자신이 입을 옷의 레시피는 3단계까지 숙련 추천,
저티어의 복장은 스킬찍는 도중 넘어가는 용도아니면 어차피 후반에 가면 입을일도 없으므로 취향껏.

-가공 및 보관스킬은 보관의 경우 3개만 중첩되도 3배의 수납효과가 있다.
마을
게임을 시작한후 Eden Falls 에 도착하면 마을활동을 시작한다.

1단계 : 1500원으로 부지구입

2단계 : 집 업그레이드를 진행시키면 무작위 이름의 5명짜리 기본마을이 생성되고 NPC의 집이 빈부지에 같이 생성된다. 기본마을의 경우 마을이름 및 설명을 설정할 수 없다.

3단계 : 기본마을에 창고를 짓고 4명의 NPC와 같이 살아갈껀지 아니면 유저가 만든 다른 마을로 갈지 아니면 직접 마을을 설립할지 선택해야한다.물론 급한것은 아님. 창고에 5가지의 요구물품을 납품하면 할때마다 5마을골드를 주는데 5골드로 역마차를 건설가능하고 다른 마을 이동에는 10000원이 소모됨. 기본마을의 경우 NPC는 창고의 상자에 물품을 채우지 않기때문에 플레이어가 5가지 품목을 모두 도맡아 채워야한다. 기본 생성마을도 이주가 가능하며 가령 내 마을에 실제 유저가 이사오면 해당 직업부지의 NPC집과 교체된다.

*기본 설정마을은 총 5자리중 플레이어가 1자리 NPC가 나머지 직업부지를 채우는 형태지만 역마차를 통해 새로 설립한 마을은 마을 이름과 마을 설명을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반면 처음 5개의 부지중 자신의 부지 제외 나머지 부지는 텅비어있다. 비어있다는 것은 해당직업의 기계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충분히 집업그레이드를 한상태이거나 당분간 집업그레이드를 할 생각이 없을때 새로 설립하도록 하자. 아니면 같이 마을을 만들 유저를 모집후 설립후 같이 이동하는 것도 좋다.

새로 마을을 설립할때는 마을이름을 직접 지을 수 있고 한글 마을이름(ex: 코리아 타운)도 지원한다. 설명 또한 설립과정에서 입력 가능하며 한글로 입력 가능하다. 설립후에는 마을이름이나 설명을 바꿀 수 없으니 신중하게 선택하자.

4단계 : 마을의 부속건물을 모두 잠금해제하고 마을 장식을 하며 마을을 발전시킨다. 처음 생성된 마을은 최대인원이 5명이지만 5명의 자리가 모두 채워지면 최대10인원 규모의 마을로 확장된다.

<마을 건물 설명>

창고 : 마을발전을 위한 골드를 모으는 건물. 5가지 품목을 요구하며 각 클래스별 제작물품 5종류나 제작재료를 요구한다. 상자에 납품하면 납품완료시 판매액을 배당받는데 이 판매액은 마을상점의 창고가치 + 장식품을 통해 증가시킬 수 있다. 가령 창고가치가 0%인 마을에서는 판매액이 100원인 아이템을 10개 납품하면 1000원만 배당받지만 창고가치가 100%인 마을에서는 같은 품목을 납품하면 2000원을 배당받는다. 제작품의 경우 내가 만들던 상점에서 구입한것이건 내구도가 1만 남았건 상관없이 받기때문에 빠른 마을골드확보를 위해서 상점에서 대량 구입후 한번에 납품할 수 있다.

상점 : 마을주민 전체에게 적용되는 창고가치 %증가 또는 가구구입가 할인 버프아이템을 구입가능하다.

마을회관 : 시장선출 및 마을주민 재산순위표를 확인가능하다. 시장이 되면 창고납품기여에 5%보너스를 받고 마을에 설치된 장식물을 판매할 수 있다.( 판매시 구입에 사용한 마을골드는 돌려받지 못한다. 왜 있는지 이해안가는 기능 )

펫상점 : 강아지를 8만원을 써서 입양할 수 있다. 강아지는 플레이어와 같이 이동하며 플레이어 근처의 아이템을 물어오고 입을 클릭하면 물품을 가방으로 넣는다. 강아지 옷이나 장난감 스킬등은 자신의 집에서 구입가능.

역마차 : 다른 마을로 이주 또는 새로운 마을을 설립 가능하다. 둘다 10000원씩 소모됨.


<마을주민과 교류>

같은 마을에 있는 플레이어는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며 서로의 집에 있는 공동선반 및 공동칠판을 사용할 수 있다.



나의 집
마을에 지어진 나의 집은 각종 버프효과가 있는 가구를 장식할 수 있으며 또한 아이템 보관상자를 놓을 수 있다.

가구는 허기감소 완화 버프, 캠프거래시 보너스,제작품의 품질상승 등 다양한 효과가 있으며 버프효과가 있는 가구가 있고 그냥 장식용도인 가구가 있다. 버프효과가 있는 가구는 최초 1회 설치시에만 버프효과가 적용되고 같은 가구를 중복설치한다고 해서 버프효과가 중첩되지는 않는다.

집의 레벨에 따라 잠금이 해제되는 가구가 있고 연감의 직업별 가구스킬을 숙련할때마다 잠금이 해제되는 직업전용가구가 있다

집에 장식된 가구 및 장식품의 총금액으로 주택가치가 매겨지고 마을에서 가장 높은 가치의 주택을 가지면 시장으로 자동 선출 된다.
야영장 거래
각 야영장에서는 거래를 할 수 있는데 자신이 배운 거래스킬에 해당하는 품목을 거래할 수 있다.

가령 의복거래 스킬만 배운 유저는 의복거래 라운드만 진행하며 일반,도구,의복,요리 총 4개의 거래스킬을 배웠다면 총 4단계의 라운드가 진행된다.

각 직업별 스킬에 물품거래 스킬을 숙련하면 판매가도 높아지지만 구입가도 높아진다. 가령 재단사를 주직업으로 하고 재료구입을 위해서 재단물품외의 나머지 3가지 거래스킬을 올렸다고 하면 나머지 거래스킬을 3단계 최대숙련한 유저는 재료구입비가 거래스킬 1단계만 찍었을때보다 증가한다.

교양인 의복 또는 실크의복세트를 입으면 거래보너스가 증가한다. 물론 물품 구입가도 비싸지기 때문에 판매할때만 입자.

거래미니게임에서 1위를 하면 랜덤하게 최고등급 아이템(요리,의복) 또는 10 or 20 스킬포인트를 받는다. 받을 수 있는 스킬포인트의 상한은 미확인. 쉬운 1위를 위해서는 저레벨 야영지에 가서 판매하는 편이 유리하다.

거래미니게임 팁 : 자신이 보유한 거래스킬 종류대로 단계별 라운드가 진행되는데 판매위치가 왼쪽이
제일 높은 가격이고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최저가격으로 판매된다. 마지막 라운드 이전의 품목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물품이 자동이동하지만 마지막 라운드의 경우 마감직전에 가장 왼쪽에 물품을 올려놓으면 가장 비싼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다.

이론상 가장 마지막 라운드에 특가상품(판매품목창 하단에 표시)을 제일 왼쪽에 올려서 파는 것이 가장 수익이 높으나 위 모든 조건을 맞추기는 번거롭기때문에 마지막 라운드정도만 지켜도 안정적으로 판매 및 미니게임 1위가 가능하다.

마지막 라운드에 일반 가격 판매 vs 도중라운드에 특가 상품 판매 두가지의 경우를 비교해보면 마지막 라운드에 가장 왼쪽에 판매하는 경우가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챌린지팁
1.각종 아이템을 일정갯수 이상 모으라는 챌린지의 경우 집에 챌린지용 상자를 놓고 각 아이템을 1개씩 모아두면 편하다. 야영지에 도착해서 해당퀘스트일 경우 집에가서 가방을 다 비우고 해당아이템을 가방에 담아온후 챌린지 시작후 이동중 아이템을 줍지말고 빨리 골인지점까지 통과후 다시 집에가서 챌린지용 아이템을 상자에 넣어놓자.

2. 일정시간내에 골인해야하는 스피드챌린지의 경우 후반에는 출발지점부터 스프린트 뿐으로 클리어하기 힘들어진다.

Tall Forest 지역의 Rapids Rest : 속도 8칸 실패 ,8칸+요리+2속도 10칸으로 도전시 약 9초남기고 골인
Ice Kingdom 지역의 Icey plains : 속도 9칸 실패. 사과주스(속도+2) 섭취후 도전시 성공
Murky Marsh 지역의 Great View : 속도 9칸 실패,요리(속도+2)섭취후 실패,쿠키(속도+3)섭취후 성공
자잘한 팁
- 에덴 폭포마을 화면에서 오른쪽으로 화면을 이동하면 마을바로 밖길로 나가는데 마을 출구와 다음 야영장까지의 거리가 매우 짧고 너구리 1마리가 고정 등장한다. 해당 맵위치는 2티어 초반맵이지만 너구리는 종종 3티어 재료를 드롭하니 레시피는 있는데 아직 재료가 나오는 맵을 못뚫은 상태면 활용하기 좋다.

-제작재료중 사막장미는 구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팔지말고 잘 모아두자.

-마을창고 상자 납품이나 강화된 새총,도끼 제작에 들어가는 도구는 내구도를 따지지 않는다. 부서지기 직전까지 사용한후 납품하거나 재료로 써도 좋다.

-맵을 끝까지 가야 얻을 수 있는 사냥의 달인 의복세트는 외형이나 능력치가 나쁘지는 않지만 레시피 단계숙련을 할 수 없어 현재는 주력 의복으로 활용하기 애매함. 레시피를 1단계 상태로 획득하며 2~3단계로의 숙련방법은 없다.

-야영지 거래로 돈을 모을때 일단 먼저 내가 판매할 아이템을 배낭에 가득채우고 가령 내가 의류를 잔뜩 준비했다면 거래시작을 누르고 우측에 각 색깔별로 카드가 겹쳐진 상태로 보여지는데 의류의 순서가 (녹색카드) 맨 마지막인지 확인하자. 마지막이 아니라면 esc를 눌러서 취소하고 지도를 열어 다시 맵이동. 반복하여 의류가 마지막 위치라면 마지막 라운드 진행바가 4분의 1정도 남았을때 가장 왼쪽에 가져온 의류를 모두 올리면 된다. 판매배율이 높은 특가상품이라도 마지막 라운드를 제외한 라운드에서 팔린다면 도중에 판매되지 않는한 가장 오른쪽 최저가 위치까지 이동후 판매되기때문에 이익이 아주크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