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AM GROUP
헤비연구소 whatisheavy
STEAM GROUP
헤비연구소 whatisheavy
1
IN-GAME
5
ONLINE
Founded
9 June, 2022
 This topic has been pinned, so it's probably important
현우 14 Feb, 2024 @ 5:51pm
고급 - 1
1. 체력관리

헤비가 탱커인 것은 맞지만 헤비가 쳐맞는 만큼 힐자원이 헤비에게 집중된다는 것또한 알고 있어야함. 힐자원이 집중된다는 뜻은 그만큼 우리 딜러들이 힐자원을 못받는다는 뜻임.
특히 데모맨은 힐을 받는 만큼 딜을 때려박는게 가능하기 때문에 데모가 좀 잘한다 싶으면 데모에게 힐자원을 몰아주면서 헤비는 수비적인 운영을 해도 됨. 본인이 쓸데없이 쳐맞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생각해주면 좋음. 예외로 상대 파이로를 쳐줘야 할 땐 앞으로 나서주는게 좋지만 헤비가 진짜 필요한 상황에서 몸을 대줄 수 있게 체력관리를 염두에 두는 것을 권장함.

2. 전체적인 맵 상황 판단

헤비의 운영은 본대운영과 사이드운영으로 나뉨. 여기서 빈도수는 본대운영이 7 사이드가 3정도로 볼 수 있음. 팀의 체력담당과 메딕 보호를 파이로와 양분하는 헤비는 본대에서 적 본대와의 자리싸움을 강하게 가져가는 역할과 사이드에서 적 로밍 견제 및 사이드 어그로 분배를 할 수 있는 역할로 나뉨. 적이 우버가 있는지, 우리팀중 누가 짤렸고 상대팀은 무엇이 짤렸는지, 알 수 있는 정보는 왠만하면 알아 두는것이 좋음. 굳이 헤비가 아니더라도 어떤 딜러를 하든간에 본인의 상황판단에 근거를 만드는 것임. 이 맵의 상황 판단이 유연하게 될수록 본인이 언제 쳐야 할지 빠져야 할지에 대한 근거가 나온다고 볼수있음.

ex) 1.본대 힘싸움 중 아군의 콤보진만 살아있고 로머가 전멸 -> 사이드로 빠져서 적 로밍을 견제하거나, 아군 콤보에게 사이드가 먹혔으니 빠지자는 콜 가능
2.상대 콤보와의 본대싸움 승리, 하지만 적 로머진 생존 -> 적 로밍 클래스들의 변수만 조심하면서 우버를 아끼고 푸쉬하자는 콜을 하거나 상대 로머진이 올 만한 사이드로 빠져서 자리를 틀어막는 것 또한 가능.
3. 상대의 우버가 있고 우리는 우버가 없는 상황 -> 상대 우버가 올테니 한턴 흘리고 재진입 or 상대 우버를 빼보자는 콜(상대를 쌔게 쳐서 체력압박을 주든, 다이브를 하든) or 빠져서 우버를 채우자는 콜 모두 가능.
4. 적 메딕 사망 아군 메딕 생존 -> 우버가 빠른 점을 이용해서 우버가 찰 때까지 아군 메딕을 지키며 아군 우버턴에 바로 푸쉬하자는 콜이 가능.

3. 에임

피지컬을 덜 타는것은 맞지만 기초중에 기초인 에임은 기르는 것이 좋음. 완벽한 각 완벽한 상황을 만들어도 에임때문에 상대를 놓치거나 못잡아서 죽는다면 그것 또한 실력임. 에임은 칼같이 기르도록 하자.
Last edited by 현우; 4 Mar, 2024 @ 9:59am